ݺߣ

닫기

국립 부경댶교

겶색
메인이미지_웹 메인이미지_모바일

 

졸업을 축하합니다!

국립부경대, 2025년 8월 학위수여식 개최- 22일 댶본부 대회의실 … 학·석·박사 1,402명 졸업△ 댶본부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졸업생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 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는 8월 22일 댶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2025년 8월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학사 934명, 석사 349명, 박사 119명 등 총 1,402명의 졸업생이 학위를 받았다. 학위수여식에서 학부 성적우수자 김보영(생물공학과) 등 12명에게는 총장 표창, 홍채연(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등 2명에게는 총동창회장 표창이 수여됐다. 배상훈 총장은 “이제 세상을 향한 발걸음은 졸업생 여러분 자신은 물론, 우리 지역사회와 국가를 넘어 인류의 진보를 향해야 한다.”라면서, “우리 댶 22만 동문의 일원으로서, 용기를 바탕으로 거침없는 도전을 통해 개인의 성취를 넘어, 국가와 세계 속에서 우리 댶의 가치를 드높여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철학자 에리히 프롬이 언급한 보호, 책임, 존경, 지식은 성숙한 인간으로서 갖춰야 할 사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자, 새로운 꿈을 펼쳐나갈 여러분에게 꼭 필요한 얘기.”라며, “우리 댶도 언제나 여러분과 함께하며, 여러분의 꿈과 도전을 응원한다.”라고 격려했다. 박세호 총동창회장은 축사를 통해 “이제 동문이 된 졸업생 여러분이 부경인으로서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살아주시길 바란다. 세상을 살다 보면 난관에 부딪힐 때도 있지만, 총동창회도 여러분의 힘이 되겠다. 부경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어 자랑스러운 동문으로서 KNN 아나운서 김다롬 동문(시스템경영공학부 13학번)이 축사를 통해 “이 뜻깊은 자리에 서게 돼 무한한 영광이고, 졸업생 여러분께 진심으로 축하의 마음을 전한다.”라면서, “이제 여러분은 진심을 품고 세상을 나아갈 준비가 된 자기다운 사람이 되었다고 믿는다. 여러분의 생각과 말 행동은 지금 시대가 갈망하는 깊이와 품격이 될 것이며, 여러분의 앞날이 지혜롭고 의미 깊은 흔적으로 남길 기원한다.”라고 말했다. <붶경투데이> △ 배상훈 총장 등 행사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학위수여식사를 하고 있는 배상훈 총장.△ 축하하는 박세호 총동창회장.△ KNN 아나운서 김다롬 동문이 축사하고 있다.

정보융합관(D16) 준공

국립부경대, 첨단 분야 정보융합댶 건물 신축- 19일 ‘정보융합관’ 준공식 개최△ 정보융합관(D16) 전경.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 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는 8월 19일 오후 정보융합관 6층 컨버전스홀에서 정보융합관 신축공사 준공식을 개최했다. 국립부경대는 총 135억 원을 투입해 2024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정보융합관 신축공사를 진행하고 이날 준공식을 했다.  지하 1층, 지상 6층, 4,689㎡ 규모에 강의실, 연구실, 대회의실 등을 갖춘 정보융합관은 국립부경대의 첨단 분야 단과댶인 정보융합댶의 교육과 연구를 위한 새로운 공간이다. 정보융합댶은 융·복합 학문 교육과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 2022년 신설됐다. 이 단과댶에는 휴먼ICT융합전공, 휴먼바이오융합전공, 빅데이터융합전공 등 7개 학부 14개 전공 2개 학과가 소속돼 있다. 국립부경대는 이번 정보융합관 건물 준공으로 캠퍼스 내 흩어져 있던 정보융합댶 관련 공간들을 집적화해 첨단 분야 교육과 연구 능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배상훈 총장은 “정보융합관 준공으로 우리 댶이 첨단 분야의 교육과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중심 댶으로 도약하는 데 또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첨단 융복합 특성화 캠퍼스 환경 조성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붶경투데이> △ 준공식 참석자들이 정보융합관 앞에서 기념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준공식 행사 전경.△ 배상훈 총장 등 행사 참석자들이 행사 후 건물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통영에 간 ݺߣ 생봉사단

국립부경대생들, 방학 맞아 통영서 봉사활동 진행- ݺߣ 생봉사단 12~14일 통영 이운마을에서 하계 특별봉사활동△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ݺߣ 생봉사단. 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의 ݺߣ 생봉사단(이하‘봉사단’)은 하계방학을 활용해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경남 통영시 일원에서 효도 봉사 등 하계 특별봉사활동을 개최했다. 봉사단 생 23명은 3일간 통영 이운마을을 찾아 마을 어르신들을 위한 짝체조, 장기자랑, 점심 식사 대접, 만들기 체험 등 효도 봉사, 야외 쉼터 벽면 도색 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운마을은 통영의 관광중심지에서 떨어진 항구 마을로, 앞서 몇 해 전 국립부경대의 벽화 봉사동아리 절영회가 이 마을 방파제에 무지개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을 펼친 바 있다. 올해 봉사단 생들은 이 마을의 야외 쉼터 벽면을 새롭게 칠하며 마을의 생기를 불어넣고, 마을회관에 방문해 노인정에 계신 어르신들을 위한 콩국수를 직접 만들어 점심 식사를 대접했다.  이와 함께 어르신과 생이 짝을 이뤄 짝체조와 광복절 맞이 태극기 부채 만들기, 효자손 꾸미기 체험을 함께하며 마을 어르신들에게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정서적 교류와 함께 세대 간의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ݺߣ 생봉사단 이한진 생(차세대반도체공학전공 4학년)은 “효도봉사부터 벽화 도색 작업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몸은 힘들었지만, 그만큼 더 보람 있고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는 시간이었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부경대 ݺߣ 생봉사단은 학내는 물론, 지역과 전국, 해외를 배경으로 사회공헌, 유엔평화 보훈 및 SDGs 분야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붶경투데이> 

ݺߣ

붶경나우

창원시정연구원과 손잡았다

국립부경대-창원시정연구원, 지역 균형 발전 협력 협약- 22일 지·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협약식△ 배상훈 총장(오른쪽)과 황인식 원장이 협약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와 창원시정연구원(원장 황인식)은 8월 22일 오후 국립부경대 댶본부 3층 접견실에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배상훈 총장과 황인식 원장은 이날 협약식을 하고, 지역의 균형 발전과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힘쓰기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연구중심댶인 국립부경대와 창원시의 싱크탱크 연구기관인 창원시정연구원은 각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은 물론 전문성을 적극 활용해 협력에 나선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각종 협력 사업 상호 지원 △미래 인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연구 지원 및 교육프로그램 공동개발 △지역산업의 저변확대를 위한 산학 정보 교류 및 학술대회 개최 협력 △데이터, 정보, 연구자료의 상호 제공 및 공동 활용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국립부경대는 지역 발전을 위한 연구중심댶으로의 역할에 주력하는 가운데, 이번 협약으로 부산 인근 창원 지역의 연구기관, 댶, 산업체 등과 협력을 확대하며 지역 균형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생들이 왔다

국립부경대, 카자흐스탄 생 유치 캠퍼스투어 개최- 알마티 한국교육원장, 관계자, 생 등 총 27명 참가△ 국립부경대를 방문한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 생들이 댶본부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 국립부경댶교 국제교류본부와 RISE사업단은 8월 20일 오후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 생들을 대상으로 캠퍼스 투어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에서 수학 중인 우수 생들이 부산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지역 댶 학교 설명회 및 캠퍼스 투어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1월에 이은 두 번째 행사다. 국립부경대는 알마티 한국교육원 원장과 관계자, 생 22명 등 총 27명이 참가한 가운데 학교 설명회를 진행하고, 백경광장, 수상레저관, 청운관 등 학내 주요시설을 소개했다.  특히 이미 국립부경대에 유학 중인 카자흐스탄 생이 직접 나서 생생한 유학 경험을 들려주는 유학수기를 발표해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국립부경댶교에는 카자흐스탄 유생 22명을 비롯해 올해 4월 기준 학·석·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교환생, 연수과정, 복수학위 등에 63개국 1,648명의 외국인 유생이 재학 중이다. 국립부경대는 앞으로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 우수 유생을 유치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유치·홍보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들, 총장상 받아

국립부경대,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 20일 시상식 … 유생 우수 성과에 총장상으로 격상△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식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는 8월 20일 오전 댶본부 3층 접견실에서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2025학년도 1학기에 졸업하는 댶원, 학부 유생 가운데 선발한 우 레이, 보 트루옹 티엔, 오마츠 아카네 등 우수 생 10명이 이날 상을 받았다.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수상자들은 우수한 연구 실적이나 성적 우수, 학교 발전 공로로 소속 학부(과) 등의 추천을 받아 선발됐다. 특히 국립부경대는 외국인 유생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이번 학기부터 10명 가운데 3명에게는 국제교류본부장상에서 총장상으로 격상해 시상했다. 이번에 상을 받은 우 레이 생은 중국 우시상업기술대 조교수로 임용됐고, 보 트루옹 티엔 생은 국제학술지에 13편의 논문을 게재(예정)하는 성과를 인정받았다. 오마츠 아카네는 국립부경대의 공식 대외홍보대사로 선발돼 활약하며 해외를 대상으로 댶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한편, 국립부경대에는 올해 4월 기준 학·석·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교환생, 연수과정, 복수학위 등에 63개국 1,648명의 외국인 유생이 재학 중이다.

B-Star 창업 아카데미 열려

부산 남구 지역댶 ‘B-Star 창업 아카데미’ 성료- 국립부경대, 동명대, 경성대 등 3개 大 25개 창업동아리 참가△ B-Star 창업 아카데미 행사 현장.국립부경댶교 RISE사업단(단장 하명신)은 국립부경대와 동명댶교, 경성댶교 등 부산 남구 지역댶이 연합으로 ‘B-Star 창업 아카데미’를 지난 8월 8일 아바니 센트럴 부산 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지난달 세 댶이 지역혁신중심 댶지원체계(RISE 체계)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출범한 ‘부산 개방형 창업공유댶(B-Star Open Campus)’ 사업의 일환이다.  이날 행사에는 부산 남구 3개 댶의 25개 창업동아리 생 45명이 참가한 가운데, 시장 기회 발견, 사업 아이템 구체화, 사업계획서 작성 및 피드백, 수익 구조와 실행 가능성 분석 등 실습 중심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부산 남구 지역댶 간 지역문제 해결형 창업동아리 연합 프로그램의 첫 단계로, 각 댶은 앞으로 단계별 창업 교육프로그램을 공동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하명신 국립부경대 RISE사업단장은 “부산 개방형 창업공유댶을 통해 부산 남구 지역 댶생들의 훌륭한 창업 아이템을 사업화하도록 지원해 부산형 기업가를 육성하고, 앞으로 부산권역 댶 간 연합 프로그램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김경남 학술연구교수 저서 2종,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국립부경댶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김경남 학술연구교수의 저서 『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교육 담론 변천』(경진출판)과 『닫힌 텍스트, 갇힌 여성들』(성균관댶교출판부)이 202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이 책들은 젠더와 교육, 지식의 교차지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대한민국학술원의 우수학술도서 279종 가운데 각각 사회과학, 인문학 분야에 선정됐다.  저자는 선정 도서에서 여성 교육을 둘러싼 담론과 지식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여성 주체의 형성과 억압을 역사적으로 조명했다. 그는 교육과 권력, 언어와 젠더가 얽힌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왔으며, 특히 여성에게 요구된 ‘배움’과 ‘말함’의 조건을 역사적 텍스트 속에서 추적해 지식의 형성과 배제를 둘러싼 젠더 권력의 작동 방식을 조명해 왔다. 김경남 학술연구교수는 “여성에게 부과된 교육의 내용과 방식, 그리고 그 이면에 숨은 말할 권리와 침묵의 규범을 분석하는 작업은 과거를 복원하는 동시에 오늘의 교육 현실을 성찰하는 일.”이라며, “이번 선정으로 여성교육사 연구의 공공성과 학제 간 확장이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자는 현재 국립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와 한국연구재단의 일반공동연구사업 ‘포용 사회의 소통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 리터러시 연구 - 산업별 언어정책 제안을 포함하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 사회의 언어·문화적 다양성에 대응하는 포용적 소통 전략과 리터러시 정책의 방향을 학제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김창경 인문사회과학연구소장은 “저자의 이번 우수학술도서 선정은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한 본 연구소의 방향성과 연구 영역을 더욱 확장, 심화하는 성과.”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학문 분야 연구와 저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해마다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서 우수 도서를 엄선해 발표한다. 선정 도서들은 전국 댶 ѫ괶과 공공ѫ괶 등에 보급돼 교육·연구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비즈니스 리더의 AI』 출간

국립부경대 천동필 교수, 『비즈니스 리더의 AI』 출간- 중소기업·스타트업 위한 AI 실용적 활용 해법 제시- 업무 보조 넘어 ‘생각 파트너’·‘공동작업자’로 공동 성장 방법 담아 국립부경댶교 기술경영전문댶원 천동필 교수가 도서 『비즈니스 리더의 AI』(커뮤니케이션북스)를 최근 출간했다.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전 과정을 다룬 이 도서는 △아이디어 발굴 △시장 분석 △의사결정 △피치덱(스타트업이 투자자에게 사업 아이디어와 잠재력을 전달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자료) 작성까지 구체적인 프롬프트와 실제 활용 사례가 실렸다. AI 활용 요구가 큰 실무자들이 업무에 바로 도입할 수 있도록 ChatGPT, Gemini 등 주요 AI 서비스 활용법을 비롯해 AI 활용 역할 플레이를 통한 의사결정 시뮬레이션 등 현실적 활용 방안도 포함됐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최근 조사(2024.11.4.)에 따르면 업무 효율성과 완성도를 위한 AI 도입이 시급함에도 국내 중소기업의 94.7%가 AI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 도입 의향도 16.3%에 그쳤다. AI를 경영에 도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거나(80.7%), 경영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모른다(14.9%)를 꼽았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정보격차, 디지털 전환 부담, 자원 부족으로 AI 도입과 활용을 멀게 느끼는 현실에서 『비즈니스 리더의 AI』는 ‘지금, 여기서 시작하라’는 메시지와 해결책을 함께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도서는 △AI 활용을 고민하는 중소기업 경영자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가 △혁신 아이디어를 찾고 검증이 필요한 스타트업 창업자 △AI 시대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려는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인 천동필 교수는 “이제 AI는 단순히 정보를 겶색하는 보조 도구가 아닌 다양한 업무의 솔루션을 제안하고 사람과 협력해 이를 구체화하는 업무 파트너.”라며, “기술적 장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실질적 활용 방안이 담긴 이 책이 AI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자> 천동필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기술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립부경댶교 기술경영전문댶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창업학회 상임부회장, 한국관리회계학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며 창업과 비즈니스 모델, 디지털 전환, 혁신 전략 분야에서 8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 2024년 교육붶 학술진흥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국립부경댶교 기업가 및 창업정신교육센터 센터장(2022.9.~2024.3.),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네트워크 자문위원, LH 제16기 사회가치 분야 기술심사평가위원 등을 역임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김광수 교수 번역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국립부경댶교 김광수 교수(과학컴퓨팅학과) 등이 번역한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경문사)이 202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이 책은 대한민국학술원이 선정한 올해 우수학술도서 279종 가운데 자연과학 분야에 선정됐다. 일본 나고야댶교 시고 이와미(Shingo Iwami) 교수의 저서를 국립부경대 김광수 교수와 나고야대 박형기 교수, 정용담 박사가 공동 번역했다.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은 바이러스 감염 실험 데이터를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미적분·선형대수·미분방정식 등을 토대로 실험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도출하는 과정을 담았다. 이 책은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실습과 바이러스 전문가들의 역사적·연구적 배경 설명을 제공해 학문적 깊이와 실용성을 갖춘 학술서로 평가받았다. 김광수 교수는 “수학과 생물학의 융합연구를 국내에 소개할 수 있게 되어 뜻깊다. 이 책이 학문 간 장벽을 낮추고 국내에서도 활발한 공동연구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학문 분야 연구와 저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해마다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서 우수 도서를 엄선해 발표한다.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 등 선정 도서들은 전국 댶 ѫ괶과 공공ѫ괶 등에 보급돼 교육·연구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목표는 지속가능한 지역 환경 생태계 구축"

“누구나 ‘환며든 삶’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길”- 이태윤 환경·양댶장, <환경일보> 인터뷰 게재 국립부경댶교 이태윤 환경·양댶장의 인터뷰 기사가 환경 분야 전문 매체 <환경일보>에 8월 12일 실렸다. 이태운 학장은 이 인터뷰에서 국립부경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장으로서 지역 환경산업 발전과 환경정책 수립 등 의견을 피력했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환경부로부터 지정받아 국립부경대를 주관기관으로 산·학·관·민·연 컨소시엄을 구성해 운영하는 기관이다. 부산시, 구·군 지자체와 협력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오염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환경관리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태윤 학장은 “센터는 ‘맞춤형 현장컨설팅 사업’과 ‘소규모 사업장 사물인터넷(IoT) 측정기기 부착 지원사업’으로 부산 지역 기업의 환경오염물질 저감과 친환경 공정 전환을 적극 지원해 왔다.”라고 밝혔다. 여러 단체나 기관과 협력하며 사업을 지원하는 만큼, 기후위기와 환경 문제를 논할 때 안타까운 점도 많다고. 그는 “환경문제는 단기적 캠페인이나 일회성 프로젝트로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다. 기관 간 협의가 일시적 이벤트로 끝나는 경우도 다반사다.”라고 지적하며, 데이터와 정보 공유의 제한성, 이해관계의 충돌, 주민 참여와 소통의 부족 등의 문제도 제시했다.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알리려는 방안으로, 이태운 학장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이야기’와 참여 가능한 ‘실천의 장’을 함께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 요즘 연이은 폭염과 집중호우 현상처럼 우리가 체감하는 기후변화 현상을 들면서 농업과 건강,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얘기하는 거다. 현실적인 피해를 말해야만 탄소중립이 단순한 환경운동이 아닌 우리네 삶을 지키는 실질적 해법임을 공유·공감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태운 학장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목표에 대해 “단기적으로 부산 지역의 환경 현안 해결과 환경산업체의 경쟁력 강화가 목표다.”라며, “장기적으로 환경기술과 정책, 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지속가능한 지역 환경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라고 밝혔다. ▷ 기사 보러가기(클릭)

고준위 방폐장 연구 부지 조건은

‘고준위 방폐장 연구, 태백에서 시작해야 하는 이유’- 김영석 교수, <한국경제> 칼럼 게재 국립부경댶교 김영석 교수(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의 칼럼 ‘고준위 방폐장 연구, 태백에서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8월 7일 <한국경제> 29면에 실렸다. 김영석 교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에 필요한 기술 연구를 위한 지하연구시설(URL) 부지 선정의 적합성 여부를 이 칼럼에서 다뤘다. 현재 강원 태백시가 해당 부지로 정해져 있다. 김영석 교수는 지진, 단층손상대, 지질공학 등 분야에서 국내외의 인정을 받는 전문가다. 김영석 교수는 이 칼럼에서 “고준위 방폐장은 유체유동이 적게 발생하는 암상과 지진 등 지반 교란으로부터 처분장이 파괴되지 않는 안정된 지역을 부지로 선정한다.”라며, “해외에서는 매우 치밀한 특성이 있는 점토질 암석이나 균질하게 넓게 분포하는 화강암을 주요 대상 암종으로 선택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태백 부지에 대해선 “일부 퇴적암이 존재하지만 심부에는 충분한 화강암류가 존재하며 특히 만일에 있을 핵종을 포함한 지하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단층대의 특성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구 조건을 제공해 최적의 부지라고 판단된다.”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다양한 암종과 단층을 포함한 URL 부지는 지질학적·수리지질학적 연구에 다양한 조건을 확보해 고준위 방폐물 처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한 우수한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칼럼 보러 가기(클릭)

“해수부 이전, 기폭제 될 것”

‘칭다오는 왜 세계적인 해양도시가 되었을까?’- 서용철 교수, <부산일보> 칼럼 게재 국립부경댶교 서용철 교수(토목공학전공)의 칼럼 ‘칭다오는 왜 세계적인 해양도시가 되었을까?’가 8월 5일 <부산일보> 22면에 실렸다. 서용철 교수는 이 칼럼에서 부산의 미래 구상에 칭다오의 전략을 어떻게 접목할지 제안했다. 서 교수는 “부산과 칭다오는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 아니라 오랜 항만 역사를 공유하며 바다를 중심으로 성장해 온 공통점이 있다.”라며, “칭다오는 2022년 항만 물동량 세계 4위, 2020년에는 컨테이너 처리량에서 부산항을 앞질러 세계 6위에 오르며,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 독보적인 위상을 확립했다.”라고 설명했다. 칭다오의 성장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인프라 구축 노력 때문이라는 게 서 교수의 진단이다. 그는 “(중국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과 R&D 시설, 해양 관련 기업 등을 집적시켰다. 투자와 제도적 지원, 집적화는 우수 인재 유치와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다.”라고 밝혔다. 부산 역시 마찬가지. 서용철 교수는 “부산이 진정한 해양 혁신의 거점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 아래 공공기관, 연구소, 기업, 법률 및 금융 서비스 등 관련 주체들을 집적화하여 시너지를 일으키는 해양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해수부 이전은 해양 금융, 해운·항만, 물류 등 전통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이러한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육성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라고 제시했다. 이어 서용철 교수는 “칭다오의 일관된 정책 추진, 미래 지향적 산업구조 전환, 매력적인 도시 콘텐츠 개발 교훈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한다. 단순한 물리적 부처 이동에 그치지 않고 국가 해양 정책의 중심 도시로서 혁신과 협력을 병행할 때 비로소 부산은 진정한 동북아 해양수도로 거듭날 것이다.”라고 역설했다. ▷ 칼럼 보러 가기(클릭)

Kim Yong-hyun | Developed a Versatile Hydrogel That Regenerates and Generates Electricity

A Sensor That Stretches Like Skin and Even Generates Power from Seawater … Development of a ‘Versatile Hydrogel’-Professor Kim Yong-hyun’s Team at ݺߣ Presents a Next-Generation Material for Wearable Sensors A next generation “all-in-one hydrogel”, which is highly sensitive to electrical signals, stretches like human skin, and even generates electricity when immersed in seawater, has been developed by a Korean research team.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Kim Yong-hyun (Department of Display and Semiconductor Engineering) at ݺߣ has developed a high-performance hydrogel by combining xanthan gum, a natural polymer, with polyvinyl alcohol (PVA), a biocompatible polymer. This new material maximizes both mechanical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key achievement of this research lies in overcoming the long-standing trade-off between mechanical strength and ionic conductivity in conventional hydrogel studies. The team accomplished this by introducing a proprietary “dual crosslinking and ion treatment” process. Specifically, they applied dual crosslinking―a comb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bonds―to reinforce the hydrogel’s internal framework. This was followed by an ion treatment process that not only enhanced the material’s conductivity but also further stabilized its structure. As a result, the developed hydrogel is over 20 times stronger than conventional types and can stretch more than four times its original length (with an elongation of 410.2%). It also achieved exceptionally high ionic conductivity (5.23 S/m). Furthermore, it demonstrated minimal signal distortion (hysteresis) during repeated movements, ensuring excellent stability and reliability as a sensor material. Building on these properties, the research team successfully applied the hydrogel as a wearable sensor by attaching it to the skin to monitor various human movements. The sensor accurately detected both large joint motions―such as finger and knee movements―and subtle physiological signals, including pulse, breathing, and swallowing. W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sensor achiev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84.9%, proving its potential as a human-machine interface (HMI). In addition, the team demonstrated that hydrogel could serve as a power generator for sustainable energy. Using the principle of osmotic power, electricity was generated as ions moved between the hydrogel and seawater due to the difference in salt concentration. The team successfully connected multiple hydrogel units in series to light an LED lamp, confirming the material’s potential a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journal (IF = 13.2), under the title: “High-performance PVA/xanthan gum hydrogel via dual cross-linking with ionic treatment for wearable sensing and hydrovoltaic energy generation,”recognizing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Professor Kim Yong-hyun, who led the research, stated, “The hydrogel we developed surpass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terials by simultaneously achieving outstand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 conductivity. We expect i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various cutting-edge technologies, including next-generation wearable devices capable of precise biosignal detection, as well as eco-friendly energy devices utilizing ocean-based power generation. “

Seung-Hoon Lee | Develops Physics-Based AI Analysis Technology

ݺߣ Research Team Develops Physics-Based AI Analysis Technology- Prof. Seung-Hoon Lee’s Team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Presents a Physics-Informed Strategy for Maximizing Learning Efficiency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at ݺߣ (President Bae Sang-hoon) ha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based technology capable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superconductors rapidly and accurately within just tens of milliseconds. Professor Lee Seung-hoon, along with lead author Lee Dong-ik (master’s program), published their study titled “Rapid analysis of point-contact Andreev reflection spectra via machine learning with physics-guided data augmentation” in (Impact Factor: 9.7), a prestigious international journal in the field of applied physics. This study has also been highly regarded academically, as it proposes a strategy to maximize model learning efficiency based on a solid understanding of physics. Superconductors are materials that exhibit zero electrical resistance, making them ess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lossless power transmission, high-field medical equipment (e.g., MRI), and as core materials for quantum computers. With the recent spotlight 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following the LK-99 controversy and the growing interest in next-generation quantum computers based on topological superconductors, the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various types of superconducto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adopte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and reduce the analysis time of point-contact spectroscopy (PCS), a technique used for analyzing superconductors. While traditional spectrum analysis could take anywhere from several hours to days, the newly developed model enables highly accurate analysis in under 0.1 seconds. Professor Lee Seung-hoon explained, “Training an AI model is similar to teaching a baby what a pig is. By repeatedly showing images that emphasize defining features―like a pig’s snout―and saying, ‘This is a pig,’ the baby naturally learns that the snout is a key clue in identifying a pig” (see Figure 1).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designed a model that generates large volumes of theoretical spectra for training and incorporated distorted data emphasizing key spectral features―based on physics knowledge―to enhance the model’s learning. This strategy maximized learn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improved real-world performance, including analysis accuracy (see Figure 2). Professor Lee Seung-hoon sta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not only because it drastically reduced analysis time, but because it presents a physics-guided strategy to maximize machine learning efficiency.” He added,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accelerate new superconductor research and be broadly applicable to data analysis in fields such as materials science, biomedical engineering, and sensor technology.” (https://doi.org/10.1016/j.mtphys.2025.101792)

Ko Min-sung·Chae Soo-jong | Overcomes Performance Degradation Limits of NCA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

ݺߣ Research Team Overcomes Performance Degradation Limits of NCA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Professors Ko Min-sung and Chae Soo-jong publish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Developed impurity control technology in microstructure for high-quality NCA cathode implementationA research team from ݺߣ has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structural defects and resolve performance degradation issues in NCA(Ni0·80Co0·15Al0·05) cathode materials ― a key component in high-energy-density secondary batteries. Professors Ko Min-sung (Departmen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nd Chae Soo-jong (Department of Energy and Chemical Materials) led the team that developed an ion-exchange-based modification technique capable of removing anionic impurities in NCA precursors, successfully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This research was published in Volume 13, Issue 23 (2025) of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journal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IF=9.5), which covers the fields of energy and materials science. The process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effectively removes sulfate ion (SO₄²-)-based impurities ― a major cause of structural instability in conventional synthesis methods ― thereby suppressing the degradation of NCA cathode materials and enhancing their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traditional sulfate-based co-precipitation methods, residual sulfate ions remain within the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NCA precursor. During subsequent heat treatment, these sulfate ions react with lithium to form lithium sulfate (Li₂SO₄), which promotes particle agglomeration and inhibits the formation of a stable crystalline structure. This leads to increased side reactions within the electrode and limits lithium-ion diffusion, ultimately resulting in decreased overal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 a long-standing structural limitation in NCA cathode production. To address this issue, the research team introduced a novel ion-exchange strategy using chloride ions (Cl-). This method selectively removed sulfate ions, significantly enhancing the crystallinity of the precursor and successful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ide reactions. Due to its simplicity, the process can be easily incorporated into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s, making it highly practical and scalabl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NCA cathode material modified through this ion-exchange approach achieved a capacity of 196.5 mAh/g, demonstrating the stable realization of its inherent performance. Notably, the sulfate ion content ―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performance degradation ― was reduced by up to 80%, resulting in a more stable crystal structure and uniformly secured lithium-ion pathways, which led to an overall improvement i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e modified NCA cathode material recorded an improved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91.4%, higher than that of the unmodified material. After 150 charge-discharge cycles, the capacity retention rate also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 demonstrating significantly enhanced long-term durability. In high-rate discharge conditions, performance improved by around 11%, indicating better output characteristics as well. Professor Ko Min-seong stated, “This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NCA cathode materials with a specific composition. It holds great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various types of cathode systems for secondary batteries. By effectively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at previously hindered the intrinsic performance of NCA materials, further performance enhancements are expected through additional modific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ey Research Institute Support Program) and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Lee Eun-kwang | Improving Image Generation Performance Using Noise

ݺߣ and Hanyang University ‘Draw Attention’ with Counterintuitive Research: Improving Image Generation Performance Using Noise- Development of Heterojunction-Based Probabilistic Control Transistor Device Published in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Lee Eun-kwang from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t ݺߣ and Professor Yoo Ho-chun from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Electronic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has developed a heterojunction-based probabilistic control transistor device. Their work introduces a novel principle in which amplifying noise actually improves image generation accuracy. The joint research team implemented a polymer-based heterojunction structure to realize a spontaneously formed negative transconductance (NTC) characteristic resulting from hole?electron injection imbalance. They also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internal noise induces probabilistic doping and de-doping processes―an essential mechanism for enhancing image generation accuracy. This research is drawing attention as a counterintuitive approach emerging at a time when novel device studies that can efficiently implement stochasticity and nonlinearity at the hardware level are increasingly valued, especially with the rise of distributed computing paradigms like edge computing and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Much like synapses in the human brain, probabilistic transistors with inherent unpredictability are seen as promising next-generation devices capable of combining energy efficiency with functional diversity. However, traditional approaches to probabilistic devices typically focus on suppressing or avoiding noise, while devices that actively leverage noise in a controlled manner remain rare. This stud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driving a paradigm shift in which noise, traditionally considered an unwanted physical phenomenon, is repurposed as a valuable computational resource. If integrated into next-generation generative AI systems, edge devices, and neuromorphic sensors,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enable low-power, highly efficient computing architectures. Professor Lee Eun-kwang commented, “This research is a creative approach that simultaneously leverages the structural advantages of organic semiconductors and their nonlinear stochastic behavior, and it is expected to greatly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noise-control-based hardware AI systems.” This research is being hailed as a groundbreaking breakthrough for next-generation nonlinear computing devices and generative AI hardware. The team’s findings were recently published in Advanced Materials (IF: 26.8, JCR Top 2.2%), a leading international journal in materials science and applied electronics, under the title ‘Heterojunction-driven stochasticity: BHJ noise-enhanced negative transconductance transistor in image generation.’ The study was supported by the Individual Basic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s well as the AI Semiconductor Core Talent Development Program (IITP) run by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Lee Eun-kwang | World’s First Implementation of Reusable Organic Electronic Device Technology

ݺߣ·Hanyang University Research Team Develops World-First Technology for Separation and Reuse of Next-Generation Organic Electronic Devic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A joint research team from ݺߣ and Hanyang University has announced the world’s first successful development of a technology enabling the separation and reuse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various electronic systems. The team includes Woo Gyu-won (senior) and Lee Chang-min (junior), undergraduate students in ݺߣ’s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Professor Kim Yong-hee; Professor Lee Eun-kwang; and Professor Yoo Ho-chun from Hanyang University. Together, they developed a next-generation regenerative component in the field of organic electronics called the π-ion film and elucidate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a modular synaptic electronic device and a low-power neuromorphic computing platform based on this technology. With the recent advances in AI-powered edge computing (Edge AI) and flexible electronics technology, there has been a surge of interest in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s (OECTs) that offer low-power operation and biocompatibility. However, conventional OECTs suffer from limited lifespans and cannot be reused due to irreversible degradation of the organic semiconductor layer, leading to increased e-waste and higher cos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research team proposed an OECT incorporating the π-ion film. They developed an enhanced π-ion film based on the organic semiconductor P3HT and the ionic liquid BMIM:TFSI, engineered it into a detachable form, and successfully achieved both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neuromorphic functionality. Notably, the team demonstrated a large-area array comprising 64 devices using the π-ion film, suggesting its potential scalability for applications such as biosensors, wearable medical devices, and AI edge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een as opening a new chapter in electronic device technolog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single-use organic devices and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modular electronic components whose overall functionality can be maintained simply by replacing individual parts.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is expected to serve as a critical foundation for reducing electronic waste and enabling the sustainable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Professor Lee Eun-kwang stated, “This research represents the first case to simultaneously achieve sustainability and modularity in neuromorphic electronic devices, and it is expecte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future industrial ap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recently published in Advanced Materials (IF: 29.4), one of the world’s leading journals in materials science, under the title “Detachable and Reusable: Reinforced π-Ion Film for Modular Synaptic Reservoir Comput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the ݺߣ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It was also carried out as part of the AI Semiconductor Specialist Training Program (IITP)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Junghwan Oh |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Aggregate”

ݺߣ Professors Junghwan Oh, Byeongil Lee, and Sudip Mondal’s Research Team Selected for Front Cover Article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Aggregate”ݺߣ (President Bae Sang-Hoon) announced that research conducted by Professor Junghwan Oh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Professor Byeongil Lee, and Professor Sudip Mondal (Digital Healthcare Research Center) has been selected as the front cover article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Aggregate (Impact Factor: 13.7), published by Wiley. The research team recently published a review article titled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in Aggregate, a globally recognized journal ranked in the top 8.6% in the fields of chemistry and multidisciplinary sciences. The published article explores recent advancements in hydrogel-based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real-time monitoring. It highlights innovations in flexible, biocompatible hydrogels that mimic the extracellular matrix while addressing challenges related to stability, toxicity, and integration with smart monitoring systems. Hydrogels are particularly promising in modern wound care due to their high-water content, flexibility, and excellent biocompatibility. The research team demonstrates the role of hydrogel-based flexible materials in advancing biomedical applications, including wound healing, point-of-care diagnostics, smart patches, and wearable devices The team’s accomplishments were made possible by the contributions of all co-authors, with special recognition to graduate students Ms. Thi Kim Ngan Duong and Mr. Truong Tien Vo, as well as throug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Professor Umapada Pal from Benem-rita Universidad Aut-noma de Puebla, Mexico. Professor Sudip Mondal stated that by combining biocompatible materials with smart sensing technologies, the research is paving the way for next-generation wound dressings that are adaptive, responsive, and clinically impactful. Professor Byeongil Lee expressed that the work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multifunctional hydrogels in advancing wound care toward future medicine and personalized treatment. Professor Junghwan Oh mentioned that this collaboration represents a significant leap forward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hydrogel-based materials that integrate real-time monitoring for smart healthcare applications. Meanwhile, the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the 2024 Global Joint Research Program of ݺߣ.

Sang-Hyug Park | Development of Smart Drug Delivery System ‘Anti-cancer effect ↑’

ݺߣ Develops ‘Smart Drug Delivery System’ to Enhance Anticancer Drug Delivery to Tumor Cells-Research team led by Ph.D. candidate Byeong Kook Kim, Professor Kwon Taek Lim, and Professor Sang-Hyug Park-Developed redox-responsive maltopheptaose-based micelles; research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A research team from ݺߣ (President Bae Sang-hoon) has developed a “smart drug delivery system” that enhances the efficiency of anticancer drug delivery to tumor cells. The system, titled “redox-responsive crosslinked maltopheptaose-based micelles,” was developed by Ph.D. candidate Byeong Kook Kim (Department of Industry 4.0 Convergence Bionics Engineering) as the first author, with Professor Kwon Taek Lim (Professor Emeritus) and Professor Sang-Hyug Park (Major of Biomedical Engineering, Division of Smart Healthcare) as corresponding authors. The system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w anticancer efficacy caused by the nonspecific delivery of doxorubicin, a potent anticancer drug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cancers but known to cause several side effects. The system developed by the ݺߣ research team is composed of an A2B-type miktoarm block copolymer based on maltopentaose, a biocompatible oligosaccharide. It incorporates disulfide or diselenide crosslinking within the micelle core, enabling selective drug release only upon reaching cancer cells, while minimizing effects on healthy tissu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exhibited high drug-loading efficiency, demonstrating biocompatibility with normal cells and strong anticancer effects against cancer cells. Professor Sang-Hyug Park st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ovel method to overcome the early leakage of drugs into the bloodstream―a major issue in conventional drug delivery systems, which often leads to various side effects. The system holds promise for applications in precision anticancer drug delivery and reduced-side-effect nanomedicine platforms, garnering considerable interest from both academia and indus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recently published in the prestigious international journal (JCR Top 0.9%) in the field of chemistry and materials engineering, under the title ‘Redox-responsive core-cross-linked micelles of miktoarm maltoheptaose-b-poly(furfuryl methacrylate) for enhanced anticancer drug delivery.’

ݺߣ

붶경나우

창원시정연구원과 손잡았다

국립부경대-창원시정연구원, 지역 균형 발전 협력 협약- 22일 지·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협약식△ 배상훈 총장(오른쪽)과 황인식 원장이 협약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와 창원시정연구원(원장 황인식)은 8월 22일 오후 국립부경대 댶본부 3층 접견실에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배상훈 총장과 황인식 원장은 이날 협약식을 하고, 지역의 균형 발전과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힘쓰기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연구중심댶인 국립부경대와 창원시의 싱크탱크 연구기관인 창원시정연구원은 각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은 물론 전문성을 적극 활용해 협력에 나선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각종 협력 사업 상호 지원 △미래 인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연구 지원 및 교육프로그램 공동개발 △지역산업의 저변확대를 위한 산학 정보 교류 및 학술대회 개최 협력 △데이터, 정보, 연구자료의 상호 제공 및 공동 활용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국립부경대는 지역 발전을 위한 연구중심댶으로의 역할에 주력하는 가운데, 이번 협약으로 부산 인근 창원 지역의 연구기관, 댶, 산업체 등과 협력을 확대하며 지역 균형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생들이 왔다

국립부경대, 카자흐스탄 생 유치 캠퍼스투어 개최- 알마티 한국교육원장, 관계자, 생 등 총 27명 참가△ 국립부경대를 방문한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 생들이 댶본부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 국립부경댶교 국제교류본부와 RISE사업단은 8월 20일 오후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 생들을 대상으로 캠퍼스 투어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카자흐스탄 알마티 한국교육원에서 수학 중인 우수 생들이 부산에서 유학할 수 있도록 지역 댶 학교 설명회 및 캠퍼스 투어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1월에 이은 두 번째 행사다. 국립부경대는 알마티 한국교육원 원장과 관계자, 생 22명 등 총 27명이 참가한 가운데 학교 설명회를 진행하고, 백경광장, 수상레저관, 청운관 등 학내 주요시설을 소개했다.  특히 이미 국립부경대에 유학 중인 카자흐스탄 생이 직접 나서 생생한 유학 경험을 들려주는 유학수기를 발표해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국립부경댶교에는 카자흐스탄 유생 22명을 비롯해 올해 4월 기준 학·석·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교환생, 연수과정, 복수학위 등에 63개국 1,648명의 외국인 유생이 재학 중이다. 국립부경대는 앞으로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 우수 유생을 유치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유치·홍보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들, 총장상 받아

국립부경대,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 20일 시상식 … 유생 우수 성과에 총장상으로 격상△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식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센터)국립부경댶교(총장 배상훈)는 8월 20일 오전 댶본부 3층 접견실에서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2025학년도 1학기에 졸업하는 댶원, 학부 유생 가운데 선발한 우 레이, 보 트루옹 티엔, 오마츠 아카네 등 우수 생 10명이 이날 상을 받았다. 자랑스러운 외국인 유생상 수상자들은 우수한 연구 실적이나 성적 우수, 학교 발전 공로로 소속 학부(과) 등의 추천을 받아 선발됐다. 특히 국립부경대는 외국인 유생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이번 학기부터 10명 가운데 3명에게는 국제교류본부장상에서 총장상으로 격상해 시상했다. 이번에 상을 받은 우 레이 생은 중국 우시상업기술대 조교수로 임용됐고, 보 트루옹 티엔 생은 국제학술지에 13편의 논문을 게재(예정)하는 성과를 인정받았다. 오마츠 아카네는 국립부경대의 공식 대외홍보대사로 선발돼 활약하며 해외를 대상으로 댶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한편, 국립부경대에는 올해 4월 기준 학·석·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교환생, 연수과정, 복수학위 등에 63개국 1,648명의 외국인 유생이 재학 중이다.

B-Star 창업 아카데미 열려

부산 남구 지역댶 ‘B-Star 창업 아카데미’ 성료- 국립부경대, 동명대, 경성대 등 3개 大 25개 창업동아리 참가△ B-Star 창업 아카데미 행사 현장.국립부경댶교 RISE사업단(단장 하명신)은 국립부경대와 동명댶교, 경성댶교 등 부산 남구 지역댶이 연합으로 ‘B-Star 창업 아카데미’를 지난 8월 8일 아바니 센트럴 부산 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지난달 세 댶이 지역혁신중심 댶지원체계(RISE 체계)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출범한 ‘부산 개방형 창업공유댶(B-Star Open Campus)’ 사업의 일환이다.  이날 행사에는 부산 남구 3개 댶의 25개 창업동아리 생 45명이 참가한 가운데, 시장 기회 발견, 사업 아이템 구체화, 사업계획서 작성 및 피드백, 수익 구조와 실행 가능성 분석 등 실습 중심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부산 남구 지역댶 간 지역문제 해결형 창업동아리 연합 프로그램의 첫 단계로, 각 댶은 앞으로 단계별 창업 교육프로그램을 공동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하명신 국립부경대 RISE사업단장은 “부산 개방형 창업공유댶을 통해 부산 남구 지역 댶생들의 훌륭한 창업 아이템을 사업화하도록 지원해 부산형 기업가를 육성하고, 앞으로 부산권역 댶 간 연합 프로그램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김경남 학술연구교수 저서 2종,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국립부경댶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김경남 학술연구교수의 저서 『한국의 여자 교육서와 여성교육 담론 변천』(경진출판)과 『닫힌 텍스트, 갇힌 여성들』(성균관댶교출판부)이 202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이 책들은 젠더와 교육, 지식의 교차지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대한민국학술원의 우수학술도서 279종 가운데 각각 사회과학, 인문학 분야에 선정됐다.  저자는 선정 도서에서 여성 교육을 둘러싼 담론과 지식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여성 주체의 형성과 억압을 역사적으로 조명했다. 그는 교육과 권력, 언어와 젠더가 얽힌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왔으며, 특히 여성에게 요구된 ‘배움’과 ‘말함’의 조건을 역사적 텍스트 속에서 추적해 지식의 형성과 배제를 둘러싼 젠더 권력의 작동 방식을 조명해 왔다. 김경남 학술연구교수는 “여성에게 부과된 교육의 내용과 방식, 그리고 그 이면에 숨은 말할 권리와 침묵의 규범을 분석하는 작업은 과거를 복원하는 동시에 오늘의 교육 현실을 성찰하는 일.”이라며, “이번 선정으로 여성교육사 연구의 공공성과 학제 간 확장이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자는 현재 국립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와 한국연구재단의 일반공동연구사업 ‘포용 사회의 소통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 리터러시 연구 - 산업별 언어정책 제안을 포함하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 사회의 언어·문화적 다양성에 대응하는 포용적 소통 전략과 리터러시 정책의 방향을 학제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김창경 인문사회과학연구소장은 “저자의 이번 우수학술도서 선정은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한 본 연구소의 방향성과 연구 영역을 더욱 확장, 심화하는 성과.”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학문 분야 연구와 저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해마다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서 우수 도서를 엄선해 발표한다. 선정 도서들은 전국 댶 ѫ괶과 공공ѫ괶 등에 보급돼 교육·연구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비즈니스 리더의 AI』 출간

국립부경대 천동필 교수, 『비즈니스 리더의 AI』 출간- 중소기업·스타트업 위한 AI 실용적 활용 해법 제시- 업무 보조 넘어 ‘생각 파트너’·‘공동작업자’로 공동 성장 방법 담아 국립부경댶교 기술경영전문댶원 천동필 교수가 도서 『비즈니스 리더의 AI』(커뮤니케이션북스)를 최근 출간했다.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전 과정을 다룬 이 도서는 △아이디어 발굴 △시장 분석 △의사결정 △피치덱(스타트업이 투자자에게 사업 아이디어와 잠재력을 전달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자료) 작성까지 구체적인 프롬프트와 실제 활용 사례가 실렸다. AI 활용 요구가 큰 실무자들이 업무에 바로 도입할 수 있도록 ChatGPT, Gemini 등 주요 AI 서비스 활용법을 비롯해 AI 활용 역할 플레이를 통한 의사결정 시뮬레이션 등 현실적 활용 방안도 포함됐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최근 조사(2024.11.4.)에 따르면 업무 효율성과 완성도를 위한 AI 도입이 시급함에도 국내 중소기업의 94.7%가 AI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 도입 의향도 16.3%에 그쳤다. AI를 경영에 도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거나(80.7%), 경영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모른다(14.9%)를 꼽았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정보격차, 디지털 전환 부담, 자원 부족으로 AI 도입과 활용을 멀게 느끼는 현실에서 『비즈니스 리더의 AI』는 ‘지금, 여기서 시작하라’는 메시지와 해결책을 함께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도서는 △AI 활용을 고민하는 중소기업 경영자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가 △혁신 아이디어를 찾고 검증이 필요한 스타트업 창업자 △AI 시대의 경영 전략을 수립하려는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인 천동필 교수는 “이제 AI는 단순히 정보를 겶색하는 보조 도구가 아닌 다양한 업무의 솔루션을 제안하고 사람과 협력해 이를 구체화하는 업무 파트너.”라며, “기술적 장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실질적 활용 방안이 담긴 이 책이 AI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자> 천동필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기술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립부경댶교 기술경영전문댶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창업학회 상임부회장, 한국관리회계학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며 창업과 비즈니스 모델, 디지털 전환, 혁신 전략 분야에서 8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 2024년 교육붶 학술진흥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국립부경댶교 기업가 및 창업정신교육센터 센터장(2022.9.~2024.3.),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네트워크 자문위원, LH 제16기 사회가치 분야 기술심사평가위원 등을 역임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김광수 교수 번역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국립부경댶교 김광수 교수(과학컴퓨팅학과) 등이 번역한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경문사)이 202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됐다. 이 책은 대한민국학술원이 선정한 올해 우수학술도서 279종 가운데 자연과학 분야에 선정됐다. 일본 나고야댶교 시고 이와미(Shingo Iwami) 교수의 저서를 국립부경대 김광수 교수와 나고야대 박형기 교수, 정용담 박사가 공동 번역했다.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은 바이러스 감염 실험 데이터를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미적분·선형대수·미분방정식 등을 토대로 실험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도출하는 과정을 담았다. 이 책은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실습과 바이러스 전문가들의 역사적·연구적 배경 설명을 제공해 학문적 깊이와 실용성을 갖춘 학술서로 평가받았다. 김광수 교수는 “수학과 생물학의 융합연구를 국내에 소개할 수 있게 되어 뜻깊다. 이 책이 학문 간 장벽을 낮추고 국내에서도 활발한 공동연구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학문 분야 연구와 저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해마다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서 우수 도서를 엄선해 발표한다. 『바이러스 감염과 상미분방정식』 등 선정 도서들은 전국 댶 ѫ괶과 공공ѫ괶 등에 보급돼 교육·연구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목표는 지속가능한 지역 환경 생태계 구축"

“누구나 ‘환며든 삶’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길”- 이태윤 환경·양댶장, <환경일보> 인터뷰 게재 국립부경댶교 이태윤 환경·양댶장의 인터뷰 기사가 환경 분야 전문 매체 <환경일보>에 8월 12일 실렸다. 이태운 학장은 이 인터뷰에서 국립부경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장으로서 지역 환경산업 발전과 환경정책 수립 등 의견을 피력했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환경부로부터 지정받아 국립부경대를 주관기관으로 산·학·관·민·연 컨소시엄을 구성해 운영하는 기관이다. 부산시, 구·군 지자체와 협력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대기오염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환경관리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태윤 학장은 “센터는 ‘맞춤형 현장컨설팅 사업’과 ‘소규모 사업장 사물인터넷(IoT) 측정기기 부착 지원사업’으로 부산 지역 기업의 환경오염물질 저감과 친환경 공정 전환을 적극 지원해 왔다.”라고 밝혔다. 여러 단체나 기관과 협력하며 사업을 지원하는 만큼, 기후위기와 환경 문제를 논할 때 안타까운 점도 많다고. 그는 “환경문제는 단기적 캠페인이나 일회성 프로젝트로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다. 기관 간 협의가 일시적 이벤트로 끝나는 경우도 다반사다.”라고 지적하며, 데이터와 정보 공유의 제한성, 이해관계의 충돌, 주민 참여와 소통의 부족 등의 문제도 제시했다.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알리려는 방안으로, 이태운 학장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이야기’와 참여 가능한 ‘실천의 장’을 함께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 요즘 연이은 폭염과 집중호우 현상처럼 우리가 체감하는 기후변화 현상을 들면서 농업과 건강,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얘기하는 거다. 현실적인 피해를 말해야만 탄소중립이 단순한 환경운동이 아닌 우리네 삶을 지키는 실질적 해법임을 공유·공감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태운 학장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목표에 대해 “단기적으로 부산 지역의 환경 현안 해결과 환경산업체의 경쟁력 강화가 목표다.”라며, “장기적으로 환경기술과 정책, 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지속가능한 지역 환경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라고 밝혔다. ▷ 기사 보러가기(클릭)

고준위 방폐장 연구 부지 조건은

‘고준위 방폐장 연구, 태백에서 시작해야 하는 이유’- 김영석 교수, <한국경제> 칼럼 게재 국립부경댶교 김영석 교수(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의 칼럼 ‘고준위 방폐장 연구, 태백에서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8월 7일 <한국경제> 29면에 실렸다. 김영석 교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에 필요한 기술 연구를 위한 지하연구시설(URL) 부지 선정의 적합성 여부를 이 칼럼에서 다뤘다. 현재 강원 태백시가 해당 부지로 정해져 있다. 김영석 교수는 지진, 단층손상대, 지질공학 등 분야에서 국내외의 인정을 받는 전문가다. 김영석 교수는 이 칼럼에서 “고준위 방폐장은 유체유동이 적게 발생하는 암상과 지진 등 지반 교란으로부터 처분장이 파괴되지 않는 안정된 지역을 부지로 선정한다.”라며, “해외에서는 매우 치밀한 특성이 있는 점토질 암석이나 균질하게 넓게 분포하는 화강암을 주요 대상 암종으로 선택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태백 부지에 대해선 “일부 퇴적암이 존재하지만 심부에는 충분한 화강암류가 존재하며 특히 만일에 있을 핵종을 포함한 지하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단층대의 특성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구 조건을 제공해 최적의 부지라고 판단된다.”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다양한 암종과 단층을 포함한 URL 부지는 지질학적·수리지질학적 연구에 다양한 조건을 확보해 고준위 방폐물 처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한 우수한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칼럼 보러 가기(클릭)

“해수부 이전, 기폭제 될 것”

‘칭다오는 왜 세계적인 해양도시가 되었을까?’- 서용철 교수, <부산일보> 칼럼 게재 국립부경댶교 서용철 교수(토목공학전공)의 칼럼 ‘칭다오는 왜 세계적인 해양도시가 되었을까?’가 8월 5일 <부산일보> 22면에 실렸다. 서용철 교수는 이 칼럼에서 부산의 미래 구상에 칭다오의 전략을 어떻게 접목할지 제안했다. 서 교수는 “부산과 칭다오는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 아니라 오랜 항만 역사를 공유하며 바다를 중심으로 성장해 온 공통점이 있다.”라며, “칭다오는 2022년 항만 물동량 세계 4위, 2020년에는 컨테이너 처리량에서 부산항을 앞질러 세계 6위에 오르며,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 독보적인 위상을 확립했다.”라고 설명했다. 칭다오의 성장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인프라 구축 노력 때문이라는 게 서 교수의 진단이다. 그는 “(중국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과 R&D 시설, 해양 관련 기업 등을 집적시켰다. 투자와 제도적 지원, 집적화는 우수 인재 유치와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다.”라고 밝혔다. 부산 역시 마찬가지. 서용철 교수는 “부산이 진정한 해양 혁신의 거점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 아래 공공기관, 연구소, 기업, 법률 및 금융 서비스 등 관련 주체들을 집적화하여 시너지를 일으키는 해양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해수부 이전은 해양 금융, 해운·항만, 물류 등 전통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이러한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육성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라고 제시했다. 이어 서용철 교수는 “칭다오의 일관된 정책 추진, 미래 지향적 산업구조 전환, 매력적인 도시 콘텐츠 개발 교훈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한다. 단순한 물리적 부처 이동에 그치지 않고 국가 해양 정책의 중심 도시로서 혁신과 협력을 병행할 때 비로소 부산은 진정한 동북아 해양수도로 거듭날 것이다.”라고 역설했다. ▷ 칼럼 보러 가기(클릭)

Kim Yong-hyun | Developed a Versatile Hydrogel That Regenerates and Generates Electricity

A Sensor That Stretches Like Skin and Even Generates Power from Seawater … Development of a ‘Versatile Hydrogel’-Professor Kim Yong-hyun’s Team at ݺߣ Presents a Next-Generation Material for Wearable Sensors A next generation “all-in-one hydrogel”, which is highly sensitive to electrical signals, stretches like human skin, and even generates electricity when immersed in seawater, has been developed by a Korean research team.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Kim Yong-hyun (Department of Display and Semiconductor Engineering) at ݺߣ has developed a high-performance hydrogel by combining xanthan gum, a natural polymer, with polyvinyl alcohol (PVA), a biocompatible polymer. This new material maximizes both mechanical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key achievement of this research lies in overcoming the long-standing trade-off between mechanical strength and ionic conductivity in conventional hydrogel studies. The team accomplished this by introducing a proprietary “dual crosslinking and ion treatment” process. Specifically, they applied dual crosslinking―a comb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bonds―to reinforce the hydrogel’s internal framework. This was followed by an ion treatment process that not only enhanced the material’s conductivity but also further stabilized its structure. As a result, the developed hydrogel is over 20 times stronger than conventional types and can stretch more than four times its original length (with an elongation of 410.2%). It also achieved exceptionally high ionic conductivity (5.23 S/m). Furthermore, it demonstrated minimal signal distortion (hysteresis) during repeated movements, ensuring excellent stability and reliability as a sensor material. Building on these properties, the research team successfully applied the hydrogel as a wearable sensor by attaching it to the skin to monitor various human movements. The sensor accurately detected both large joint motions―such as finger and knee movements―and subtle physiological signals, including pulse, breathing, and swallowing. W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sensor achiev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84.9%, proving its potential as a human-machine interface (HMI). In addition, the team demonstrated that hydrogel could serve as a power generator for sustainable energy. Using the principle of osmotic power, electricity was generated as ions moved between the hydrogel and seawater due to the difference in salt concentration. The team successfully connected multiple hydrogel units in series to light an LED lamp, confirming the material’s potential a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journal (IF = 13.2), under the title: “High-performance PVA/xanthan gum hydrogel via dual cross-linking with ionic treatment for wearable sensing and hydrovoltaic energy generation,”recognizing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Professor Kim Yong-hyun, who led the research, stated, “The hydrogel we developed surpass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terials by simultaneously achieving outstand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 conductivity. We expect i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various cutting-edge technologies, including next-generation wearable devices capable of precise biosignal detection, as well as eco-friendly energy devices utilizing ocean-based power generation. “

Seung-Hoon Lee | Develops Physics-Based AI Analysis Technology

ݺߣ Research Team Develops Physics-Based AI Analysis Technology- Prof. Seung-Hoon Lee’s Team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Presents a Physics-Informed Strategy for Maximizing Learning Efficiency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at ݺߣ (President Bae Sang-hoon) ha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based technology capable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superconductors rapidly and accurately within just tens of milliseconds. Professor Lee Seung-hoon, along with lead author Lee Dong-ik (master’s program), published their study titled “Rapid analysis of point-contact Andreev reflection spectra via machine learning with physics-guided data augmentation” in (Impact Factor: 9.7), a prestigious international journal in the field of applied physics. This study has also been highly regarded academically, as it proposes a strategy to maximize model learning efficiency based on a solid understanding of physics. Superconductors are materials that exhibit zero electrical resistance, making them ess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lossless power transmission, high-field medical equipment (e.g., MRI), and as core materials for quantum computers. With the recent spotlight o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following the LK-99 controversy and the growing interest in next-generation quantum computers based on topological superconductors, the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various types of superconducto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adopte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and reduce the analysis time of point-contact spectroscopy (PCS), a technique used for analyzing superconductors. While traditional spectrum analysis could take anywhere from several hours to days, the newly developed model enables highly accurate analysis in under 0.1 seconds. Professor Lee Seung-hoon explained, “Training an AI model is similar to teaching a baby what a pig is. By repeatedly showing images that emphasize defining features―like a pig’s snout―and saying, ‘This is a pig,’ the baby naturally learns that the snout is a key clue in identifying a pig” (see Figure 1). Professor Lee Seung-hoon’s research team designed a model that generates large volumes of theoretical spectra for training and incorporated distorted data emphasizing key spectral features―based on physics knowledge―to enhance the model’s learning. This strategy maximized learn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improved real-world performance, including analysis accuracy (see Figure 2). Professor Lee Seung-hoon sta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not only because it drastically reduced analysis time, but because it presents a physics-guided strategy to maximize machine learning efficiency.” He added,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accelerate new superconductor research and be broadly applicable to data analysis in fields such as materials science, biomedical engineering, and sensor technology.” (https://doi.org/10.1016/j.mtphys.2025.101792)

Ko Min-sung·Chae Soo-jong | Overcomes Performance Degradation Limits of NCA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

ݺߣ Research Team Overcomes Performance Degradation Limits of NCA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Professors Ko Min-sung and Chae Soo-jong publish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Developed impurity control technology in microstructure for high-quality NCA cathode implementationA research team from ݺߣ has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structural defects and resolve performance degradation issues in NCA(Ni0·80Co0·15Al0·05) cathode materials ― a key component in high-energy-density secondary batteries. Professors Ko Min-sung (Departmen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nd Chae Soo-jong (Department of Energy and Chemical Materials) led the team that developed an ion-exchange-based modification technique capable of removing anionic impurities in NCA precursors, successfully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This research was published in Volume 13, Issue 23 (2025) of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journal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IF=9.5), which covers the fields of energy and materials science. The process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effectively removes sulfate ion (SO₄²-)-based impurities ― a major cause of structural instability in conventional synthesis methods ― thereby suppressing the degradation of NCA cathode materials and enhancing their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traditional sulfate-based co-precipitation methods, residual sulfate ions remain within the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NCA precursor. During subsequent heat treatment, these sulfate ions react with lithium to form lithium sulfate (Li₂SO₄), which promotes particle agglomeration and inhibits the formation of a stable crystalline structure. This leads to increased side reactions within the electrode and limits lithium-ion diffusion, ultimately resulting in decreased overal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 a long-standing structural limitation in NCA cathode production. To address this issue, the research team introduced a novel ion-exchange strategy using chloride ions (Cl-). This method selectively removed sulfate ions, significantly enhancing the crystallinity of the precursor and successful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ide reactions. Due to its simplicity, the process can be easily incorporated into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s, making it highly practical and scalabl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NCA cathode material modified through this ion-exchange approach achieved a capacity of 196.5 mAh/g, demonstrating the stable realization of its inherent performance. Notably, the sulfate ion content ―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performance degradation ― was reduced by up to 80%, resulting in a more stable crystal structure and uniformly secured lithium-ion pathways, which led to an overall improvement i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e modified NCA cathode material recorded an improved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91.4%, higher than that of the unmodified material. After 150 charge-discharge cycles, the capacity retention rate also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 demonstrating significantly enhanced long-term durability. In high-rate discharge conditions, performance improved by around 11%, indicating better output characteristics as well. Professor Ko Min-seong stated, “This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NCA cathode materials with a specific composition. It holds great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various types of cathode systems for secondary batteries. By effectively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at previously hindered the intrinsic performance of NCA materials, further performance enhancements are expected through additional modific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ey Research Institute Support Program) and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Lee Eun-kwang | Improving Image Generation Performance Using Noise

ݺߣ and Hanyang University ‘Draw Attention’ with Counterintuitive Research: Improving Image Generation Performance Using Noise- Development of Heterojunction-Based Probabilistic Control Transistor Device Published in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Lee Eun-kwang from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t ݺߣ and Professor Yoo Ho-chun from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Electronic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has developed a heterojunction-based probabilistic control transistor device. Their work introduces a novel principle in which amplifying noise actually improves image generation accuracy. The joint research team implemented a polymer-based heterojunction structure to realize a spontaneously formed negative transconductance (NTC) characteristic resulting from hole?electron injection imbalance. They also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internal noise induces probabilistic doping and de-doping processes―an essential mechanism for enhancing image generation accuracy. This research is drawing attention as a counterintuitive approach emerging at a time when novel device studies that can efficiently implement stochasticity and nonlinearity at the hardware level are increasingly valued, especially with the rise of distributed computing paradigms like edge computing and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Much like synapses in the human brain, probabilistic transistors with inherent unpredictability are seen as promising next-generation devices capable of combining energy efficiency with functional diversity. However, traditional approaches to probabilistic devices typically focus on suppressing or avoiding noise, while devices that actively leverage noise in a controlled manner remain rare. This stud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driving a paradigm shift in which noise, traditionally considered an unwanted physical phenomenon, is repurposed as a valuable computational resource. If integrated into next-generation generative AI systems, edge devices, and neuromorphic sensors,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enable low-power, highly efficient computing architectures. Professor Lee Eun-kwang commented, “This research is a creative approach that simultaneously leverages the structural advantages of organic semiconductors and their nonlinear stochastic behavior, and it is expected to greatly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noise-control-based hardware AI systems.” This research is being hailed as a groundbreaking breakthrough for next-generation nonlinear computing devices and generative AI hardware. The team’s findings were recently published in Advanced Materials (IF: 26.8, JCR Top 2.2%), a leading international journal in materials science and applied electronics, under the title ‘Heterojunction-driven stochasticity: BHJ noise-enhanced negative transconductance transistor in image generation.’ The study was supported by the Individual Basic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s well as the AI Semiconductor Core Talent Development Program (IITP) run by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Lee Eun-kwang | World’s First Implementation of Reusable Organic Electronic Device Technology

ݺߣ·Hanyang University Research Team Develops World-First Technology for Separation and Reuse of Next-Generation Organic Electronic Devic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A joint research team from ݺߣ and Hanyang University has announced the world’s first successful development of a technology enabling the separation and reuse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various electronic systems. The team includes Woo Gyu-won (senior) and Lee Chang-min (junior), undergraduate students in ݺߣ’s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Professor Kim Yong-hee; Professor Lee Eun-kwang; and Professor Yoo Ho-chun from Hanyang University. Together, they developed a next-generation regenerative component in the field of organic electronics called the π-ion film and elucidate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a modular synaptic electronic device and a low-power neuromorphic computing platform based on this technology. With the recent advances in AI-powered edge computing (Edge AI) and flexible electronics technology, there has been a surge of interest in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s (OECTs) that offer low-power operation and biocompatibility. However, conventional OECTs suffer from limited lifespans and cannot be reused due to irreversible degradation of the organic semiconductor layer, leading to increased e-waste and higher cos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research team proposed an OECT incorporating the π-ion film. They developed an enhanced π-ion film based on the organic semiconductor P3HT and the ionic liquid BMIM:TFSI, engineered it into a detachable form, and successfully achieved both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neuromorphic functionality. Notably, the team demonstrated a large-area array comprising 64 devices using the π-ion film, suggesting its potential scalability for applications such as biosensors, wearable medical devices, and AI edge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een as opening a new chapter in electronic device technolog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single-use organic devices and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modular electronic components whose overall functionality can be maintained simply by replacing individual parts.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is expected to serve as a critical foundation for reducing electronic waste and enabling the sustainable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Professor Lee Eun-kwang stated, “This research represents the first case to simultaneously achieve sustainability and modularity in neuromorphic electronic devices, and it is expecte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future industrial ap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recently published in Advanced Materials (IF: 29.4), one of the world’s leading journals in materials science, under the title “Detachable and Reusable: Reinforced π-Ion Film for Modular Synaptic Reservoir Comput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the ݺߣ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It was also carried out as part of the AI Semiconductor Specialist Training Program (IITP)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Junghwan Oh |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Aggregate”

ݺߣ Professors Junghwan Oh, Byeongil Lee, and Sudip Mondal’s Research Team Selected for Front Cover Article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Aggregate”ݺߣ (President Bae Sang-Hoon) announced that research conducted by Professor Junghwan Oh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Professor Byeongil Lee, and Professor Sudip Mondal (Digital Healthcare Research Center) has been selected as the front cover article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Aggregate (Impact Factor: 13.7), published by Wiley. The research team recently published a review article titled “Hydrogel-Based Smart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Sensing” in Aggregate, a globally recognized journal ranked in the top 8.6% in the fields of chemistry and multidisciplinary sciences. The published article explores recent advancements in hydrogel-based materials for wound healing and real-time monitoring. It highlights innovations in flexible, biocompatible hydrogels that mimic the extracellular matrix while addressing challenges related to stability, toxicity, and integration with smart monitoring systems. Hydrogels are particularly promising in modern wound care due to their high-water content, flexibility, and excellent biocompatibility. The research team demonstrates the role of hydrogel-based flexible materials in advancing biomedical applications, including wound healing, point-of-care diagnostics, smart patches, and wearable devices The team’s accomplishments were made possible by the contributions of all co-authors, with special recognition to graduate students Ms. Thi Kim Ngan Duong and Mr. Truong Tien Vo, as well as throug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Professor Umapada Pal from Benem-rita Universidad Aut-noma de Puebla, Mexico. Professor Sudip Mondal stated that by combining biocompatible materials with smart sensing technologies, the research is paving the way for next-generation wound dressings that are adaptive, responsive, and clinically impactful. Professor Byeongil Lee expressed that the work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multifunctional hydrogels in advancing wound care toward future medicine and personalized treatment. Professor Junghwan Oh mentioned that this collaboration represents a significant leap forward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hydrogel-based materials that integrate real-time monitoring for smart healthcare applications. Meanwhile, the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the 2024 Global Joint Research Program of ݺߣ.

Sang-Hyug Park | Development of Smart Drug Delivery System ‘Anti-cancer effect ↑’

ݺߣ Develops ‘Smart Drug Delivery System’ to Enhance Anticancer Drug Delivery to Tumor Cells-Research team led by Ph.D. candidate Byeong Kook Kim, Professor Kwon Taek Lim, and Professor Sang-Hyug Park-Developed redox-responsive maltopheptaose-based micelles; research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A research team from ݺߣ (President Bae Sang-hoon) has developed a “smart drug delivery system” that enhances the efficiency of anticancer drug delivery to tumor cells. The system, titled “redox-responsive crosslinked maltopheptaose-based micelles,” was developed by Ph.D. candidate Byeong Kook Kim (Department of Industry 4.0 Convergence Bionics Engineering) as the first author, with Professor Kwon Taek Lim (Professor Emeritus) and Professor Sang-Hyug Park (Major of Biomedical Engineering, Division of Smart Healthcare) as corresponding authors. The system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ow anticancer efficacy caused by the nonspecific delivery of doxorubicin, a potent anticancer drug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cancers but known to cause several side effects. The system developed by the ݺߣ research team is composed of an A2B-type miktoarm block copolymer based on maltopentaose, a biocompatible oligosaccharide. It incorporates disulfide or diselenide crosslinking within the micelle core, enabling selective drug release only upon reaching cancer cells, while minimizing effects on healthy tissu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exhibited high drug-loading efficiency, demonstrating biocompatibility with normal cells and strong anticancer effects against cancer cells. Professor Sang-Hyug Park st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ovel method to overcome the early leakage of drugs into the bloodstream―a major issue in conventional drug delivery systems, which often leads to various side effects. The system holds promise for applications in precision anticancer drug delivery and reduced-side-effect nanomedicine platforms, garnering considerable interest from both academia and indus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recently published in the prestigious international journal (JCR Top 0.9%) in the field of chemistry and materials engineering, under the title ‘Redox-responsive core-cross-linked micelles of miktoarm maltoheptaose-b-poly(furfuryl methacrylate) for enhanced anticancer drug delivery.’

# 부경SNS